끝날 듯 끝나지 않는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, 중국에서는 또 다른 바이러스가 조금씩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엔, 랑야 바이러스인데요. <br /> <br />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전파되는 인수 공통 바이러스로 2018년 산둥성 랑야 지역에서 처음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자들은 소형 포유류인 땃쥐를 바이러스를 옮기는 숙주로 보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감염되면 주로 발열과 피로, 기침, 식욕부진, 근육통 등이나 메스꺼움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우리 질병청은 2018년부터 지난해 8월까지 랑야 바이러스 감염 사례는 35건으로 국내 유입 가능성은 매우 낮다면서도, 공포심 보다는 상황을 면밀하게 살펴야 할 시기라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한편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의 확산도 심상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원숭이두창에 대한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한 데다 이번엔 처음으로 반려견에게 원숭이두창이 전파된 사례도 나왔는데요. <br /> <br />반려견의 주인은 파리에 함께 거주하는 40대와 20대 동성애자 남성들입니다. <br /> <br />이들과 함께 침대를 썼던 이탈리아 그레이하운드종 반려견은 주인들이 확진된 이후 12일 뒤 유사한 증세로 확진됐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 감염자와 한 침대를 공유하는 것만으로도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는 게 증명됐다며, 의료계도 경고하고 나섰죠. <br /> <br />국내 코로나 19 상황도 만만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위중증 환자가 112일만에 최다를 기록하는 등 여전히 코로나라는 긴 터널을 지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최근에는 역대급 폭우로 수해 피해를 입은 지역이 많은 만큼, 취약해진 위생환경에 따른 감염병 위험도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주로 오염된 물을 통한 장티푸스, 세균성 이질, A형 간염이나 유행성 눈병, 피부병 등의 감염 위험도 커진 건데요. <br /> <br />특히 이재민 대피 시설 등 밀집된 환경에서 코로나19 등 집단 감염에 대한 우려도 큰 만큼 철저한 예방 수칙 준수가 더욱 필요한 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81617213996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